Grow & Be Happy

성장하면서 행복해지자!

블록체인 이야기

블록체인 회사 연봉 및 복지 비교: 어디서 일할 것인가?

부자요정 켈리 2025. 8. 6. 23:46

블록체인 회사 연봉 및 복지 비교: 어디서 일할 것인가?

최근 몇 년간 블록체인은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산업 전반에 혁신을 일으키는 핵심 인프라 기술로 자리 잡았다. 그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문 인력 확보 경쟁도 매우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개발자, 스마트 컨트랙트 엔지니어, 보안 전문가 등은 상위 5%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고소득 직군으로 분류되며, 근무 환경 또한 유연하고 복지 수준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주요 블록체인 기업 및 글로벌 프로젝트의 연봉 수준과 복지 제도를 비교 분석해 본다.


블록체인 회사 연봉 및 복지 비교
블록체인 회사 연봉 및 복지 비교

1. 국내 주요 블록체인 기업 연봉 및 복지 비교

🔹 GroundX (前 클레이튼 개발사, 현재 독립 운영 중)

  • 기술 히스토리: 클레이튼 메인넷, 지갑 서비스 ‘Klip’, NFT 마켓 ‘Klip Drops’ 등 초기 인프라 개발 주체였음. 현재는 Kaia 생태계에서 공식적으로 철수, 독립적인 블록체인 R&D 조직으로 전환
  • 평균 연봉: 신입 기준 5,500만 원 ~ 6,000만 원 / 경력직 평균 8,000만 원 이상(※ Kaia 관련 업무는 더 이상 수행하지 않음)
  • 복지제도:
  • 카카오 계열 복지 일부 유지 (복지 포인트, 자율 근무제 등)
  • 사내 헬스케어 및 무제한 휴가제 도입 사례 존재
  • 조직 변화:
  • 현재 GroundX는 Kaia 생태계에서 독립되었으며, 자체 프로젝트 또는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연구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임
  • Kaia 생태계는 새로운 파트너들과 함께 거버넌스 카운슬을 구성 중
  • 주의사항:
  • GroundX를 Kaia 또는 클레이튼 개발사로 오해하지 말 것
  • 채용 공고나 기업 소개 시 여전히 ‘Klaytn 개발사’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지만, 공식적 관계는 종료됨

 

🔹 Lambda256 (두나무 계열사)

  • 기술 스택: 루니버스(Luniverse) BaaS 플랫폼, DID, NFT 인프라
  • 평균 연봉: 신입 5,000만 원대 중반 / 경력 평균 7,000만 원 ~ 1억 원
  • 인센티브: 프로젝트 성과 기반 연봉 조정 및 성과급
  • 복지제도:
  • 유연근무제, 자율 출퇴근
  • 직무 교육비, 컨퍼런스 참가비 100% 지원
  • 재택근무 장려 및 화상 장비 제공
  • 특징: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에 강점이 있으며, 스타트업의 빠른 실행력을 유지하고 있음

🔹 ICONLOOP

  • 기술 스택: ICON 퍼블릭 체인, DID 기술, 블록체인 기반 인증 플랫폼
  • 평균 연봉: 신입 4,500만 원 / 경력직 평균 6,000만 원 ~ 8,000만 원
  • 복지제도:
  • 자사 토큰 보상 시스템
  • 도서비, 교육비 지원
  • 무제한 간식, 카페테리아 제공
  • 특징: 정부·공공기관 프로젝트에 강점이 있고, 기술력 중심의 사내 문화 형성

🔹 해치랩스 (HatchLabs)

  • 기술 스택: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탈중앙화 금융(DeFi) 인프라 개발
  • 평균 연봉: 경력직 기준 8,000만 원 이상 / 보안 감사자는 1억 원 이상도 가능
  • 복지제도:
  • 전 직원 재택근무 가능
  • 해외 컨퍼런스 비용 전액 지원
  • 주 35시간 근무제
  • 특징: 기술 기반 보안 전문가 중심 조직으로, 자율성과 전문성이 매우 높은 기업 문화

2. 해외 블록체인 기업 연봉 및 환경

🔹 ConsenSys (미국)

  • 주요 프로젝트: MetaMask, Infura, Truffle
  • 평균 연봉: 개발자 기준 $120,000 ~ $180,000 (한화 약 1.6 ~ 2.4억 원)
  • 복지제도:
  • 전 세계 원격 근무 가능
  • 법정 공휴일 외 30일 이상 유급 휴가
  • 자사 Web3 토큰 보너스 지급
  • 특징: DAO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도입, 탈중앙화된 조직 운영

🔹 Binance (싱가포르/글로벌)

  • 평균 연봉: $100,000 ~ $250,000 (포지션에 따라 차이 큼)
  • 복지제도:
  • 전직원 리모트 근무 가능
  • 토큰 보너스 및 스톡옵션
  • 고성능 업무 장비 제공
  • 특징: 빠른 실행력과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암호화폐 거래소로, 기술 인력 확보에 적극적

3. 포지션별 연봉 정리 (국내 기준)

포지션 신입 평균 연봉 경력 평균 연봉 상위 10%
블록체인 개발자 4,800만 원 7,000만 원 1.2억 원 이상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자 5,200만 원 8,000만 원 1.5억 원 이상
보안 감사 전문가 6,000만 원 9,000만 원 2억 원 이상
Web3 서비스 기획자 4,000만 원 6,000만 원 9,000만 원
블록체인 컨설턴트 5,000만 원 7,000만 원 1억 원 이상

일부 회사는 연봉 외에 토큰 보너스, 스톡옵션, 인센티브가 연봉의 50% 이상 차지할 수 있음


4. 어떤 회사를 선택할 것인가?

비교 항목 대기업 계열 (GroundX ) 기술 기반 스타트업 (해치랩스 등) 글로벌 기업 (ConsenSys )
연봉 안정성 높음 중간 이상 높음 (USD 기준)
성장 가능성 중간 높음 매우 높음
복지 제도 체계적 유연함 자율적·글로벌
업무 자율성 제한적 높음 매우 높음
조직 문화 수직적 + 협업 지향 수평적 탈중앙적, DAO 기반

▶ 연봉만 보지 말고성장 가능성을 봐야 할 때

블록체인 기업들은 일반 IT 기업과 달리 "연봉 + 토큰 인센티브 + 자율 문화"가 결합된 형태가 많다. 때문에 연봉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다음 요소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
  • 기술 스택과 내 성장 방향이 맞는가?
  • 자율성과 복지, 워라밸의 균형
  • 초기 입사 후 향후 2~3년 내 커리어 레벨업 가능성

특히 실리콘밸리나 싱가포르 등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에 관심이 있다면 영어 문서 이해력, 오픈소스 기여 경험, 글로벌 커뮤니티 활동 등이 입사에 큰 강점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 포스팅을 읽으며 취업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분들은 이미 무한한 가능성에 눈을 뜬, 남들보다 한발 앞서 나가는 분들임에 분명하다.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운 길 위에서 블록체인이라는 열쇠를 제대로 활용하여 고소득이라는 꿈을 실현해 줄 수 있는 길을 찾길 바란다.

 

 

 

* 덧붙이는 말: 이 포스팅은 실제 채용 공고, 기업 공식 발표 자료, 커뮤니티 경험자 후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정보를 위해 각 회사의 채용 페이지 또는 블라인드, 원티드, 로켓펀치 등을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