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파밍 vs 변동성 자산 파밍: 수익과 리스크 실전 비교
2025년 현재 디파이(DeFi)에서 자산을 예치하고 수익을 얻는 ‘파밍(Farming)’ 전략은 더 이상 단순하지 않다. 수많은 프로토콜들이 등장하면서 사용자는 예치할 자산의 종류부터 전략 방식까지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 파밍’과 ‘변동성 자산 파밍’은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가장 어려운 선택지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격이 고정돼 있어 수익률이 낮지만 안정적이며, 변동성 자산은 ETH, SOL, LDO처럼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도 높고 손실 위험도 크다. 이 글에서는 두 파밍 전략의 수익 구조, 리스크 구조, 실제 전략 예시, 투자자 성향별 추천 전략까지 실전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1. 파밍 구조 간단 정리
항목 | 스테이블 코인 파밍 | 변동성 자산 파밍 |
예치 자산 | USDC, DAI, USDT, USDe 등 | ETH, SOL, WBTC, LDO, OP 등 |
가격 변동성 | 없음 또는 매우 낮음 | 매우 큼(시장에 따라 손익 극단적) |
수익률 수준(APR 기준) | 보통 4~12% | 보통 10~50%, 일부는 100% 이상 가능 |
리스크 요소 | 상대적으로 낮음 | 가격 하락, 임퍼머넌트 로스(IL), 청산 위험 |
전략 난이도 | 낮음 | 중~상 |
2. 스테이블 코인 파밍이란?
스테이블 코인 파밍은 가격이 1달러에 고정된 자산을 예치하고, 거래 수수료 또는 인센티브 보상으로 수익을 얻는 전략이다.
대표 예시
- Aave에서 DAI 예치 → 2~3% 이자 수익
- Curve의 USDC/USDT 풀 예치 → 거래 수수료 + 보상 합산 APR 6~8%
- Kamino의 USDC-USDT 볼트(Vault) 참여 → 자동 복리 수익 10%대
장점
- 가격 변동이 없어 손실 위험이 낮음
- 예치 즉시 수익 발생 가능
- 복리 전략을 적용하면 수익률이 증가
단점
- 수익률이 낮다
- 거래량이 적은 풀은 수익도 적음
- 토큰 인센티브 가격이 떨어지면 실제 수익은 줄어듦
3. 변동성 자산 파밍이란?
변동성 자산 파밍은 ETH, LDO, SOL, OP 등의 자산을 예치하여 거래 수수료 + 보상 토큰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다. 특히 Uniswap V3나 Thruster 같은 플랫폼에서는 집중 유동성 또는 전략 조합을 통해 고수익을 노릴 수 있다.
대표 예시
- Uniswap V3에서 ETH-DAI 풀 제공 (집중 유동성)
- Aerodrome에서 OP-ETH 풀 참여 + veAERO 기반 추가 보상
- Thruster에서 wstETH-LRT 풀에 30일 락업 조건으로 APR 30% 이상 획득
장점
- 거래 수수료 수익 + 플랫폼 보상으로 수익률이 높음
- 장기 보유할 자산을 예치함으로써 추가 수익 창출
- 거버넌스 토큰 보상으로 추가적 영향력 확보 가능
단점
- 자산 가격 하락 시 큰 손실 발생 가능
- Uniswap V3와 같은 집중 유동성 구조에서는 ‘무영향 손실(IL)’이 심함
- 청산 리스크(레버리지 포함 전략 시) 존재
4. 실전 전략 비교
전략 유형 | 설명 | 기대 수익률 (APR) | 리스크 수준 |
USDC-USDT 예치 (Kamino) | 자동 복리 구조, 낮은 변동성 | 8~12% | 매우 낮음 |
DAI 예치 (Spark Protocol) | 스테이블 기반 대출 이자 수익 | 3~5% | 낮음 |
ETH-OP 풀 예치 (Aerodrome) | 거래 수수료 + bribes 보상 | 25~40% | 중 |
ETH-LRT 풀 예치 (Thruster) | 모듈형 전략 설계 가능 | 30~60% | 중~상 |
wstETH/ETH 레버리지 전략 (Morpho + Curve) | 차입 → 재예치 반복 | 60% 이상 | 높음 (청산 가능성 있음) |
5. 수익률 vs 리스크 평가(1~5점 척도)
전략 | 수익률 | 리스크 |
스테이블 파밍 (Kamino 등) | 2 | 1 |
Curve 스테이블 풀 | 3 | 2 |
Aerodrome 변동성 풀 | 4 | 3 |
Thruster 전략 풀 | 5 | 4 |
레버리지 기반 파밍 | 5 | 5 |
6. 투자자 성향별 추천 전략
투자자 유형 | 추천 전략 | 추천 플랫폼 |
초보자 / 원금보존 우선 | 스테이블 예치 | Aave, Kamino, Spark |
수익과 리스크 균형 | ETH-OP 풀 / 보상 LP | Aerodrome, Thruster |
고수익 추구 고급 사용자 | 레버리지 파밍 / 전략 조합 | Morpho, Thruster |
자산의 ‘성격’을 알고 파밍하자!
스테이블 코인 파밍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거의 없는 대신, 수익률이 제한적이다.
반면 변동성 자산 파밍은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매우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지만, 가격 하락과 무영향 손실, 청산이라는 리스크를 동반한다.
2025년 디파이에서는 단순히 APR이 높은 곳을 선택하기보다는,
자신이 투자한 자산이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그리고
그 자산이 파밍 전략과 얼마나 잘 맞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파이 > [돈 버는 디파이 전략] - 파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mino? Uniswap V3? 어디가 더 쉽지? (0) | 2025.07.24 |
---|---|
2025년 디파이 파밍 어디서 할까?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