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2

[디파이 전략 3화] LST? LRT? 그게 뭘까?

LST vs LRT 쉬운 정리: 스테이킹으로 돈 버는 방법, 무엇이 다를까? 스테이킹을 해본 적이 있든 없든, 요즘 디파이 세계를 조금이라도 둘러봤다면 stETH, eETH, ezETH 같은 이름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건 단순한 코인이 아니라, 우리가 ETH를 예치하고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LST)’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보다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리스테이킹 토큰(LRT)’이 등장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은 더 복잡해졌다. 도대체 LST와 LRT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왜 둘 다 돈을 벌 수 있다고 할까? 이 포스팅에서는 디파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LST와 LRT의 구조와 수익 방식의 차이를 설명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 플랫폼들도 ..

[디파이 전략 2화] 리스테이킹이 바꾸는 디파이 지도-Etherfi, Renzo, Ethena, Zircuit

EigenLayer와 연계 플랫폼 - Etherfi, Renzo, Ethena, Zircuit 리스테이킹은 더 이상 실험적인 수익 전략이 아니다. 2025년, EigenLayer는 이더리움 보안을 외부 서비스로 확장하는 '인터넷적 보안 계층'으로 진화했고, 그 위에 수십 개의 새로운 프로토콜이 탄생했다. 특히 EtherFi, Renzo, Zircuit, Ethena 같은 프로젝트는 리스테이킹 토큰을 활용하거나 그 보안 기반 위에 설계된 대표 사례다. 이 포스팅에서는 EigenLayer의 작동 원리, 리스테이킹 구조, 그리고 2025년 상반기 기준으로 실제 포인트 보상과 디파이 전략이 어떤 방식으로 엮여 있는지를 최신 정보로 정리한다. 지금 디파이에서 진짜 이자가 어디서 나오는지 알고 싶다면 이 포스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