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rcuit과 Ethena: 리스테이킹 기반 포인트 파밍 완전 정리:
EigenLayer 포인트 전략의 핵심, 어디에 예치해야 하는가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확장되면서, 단순히 ETH를 맡기고 이자만 받는 구조는 빠르게 지나가고 있다.
특히 2025년에는 EigenLayer를 중심으로 한 ‘포인트 파밍’ 전략이 핵심 수익 모델로 부상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유저들이 몰리고 있는 플랫폼이 바로 Zircuit과 Ethena다.
이 두 플랫폼은 단순한 보안 서비스가 아니라, 리스테이킹된 자산을 통해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s)’의 보안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포인트를 제공하며 토큰 에어드랍까지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포스팅에서는 Zircuit과 Ethena의 구조, 참여 방법, 포인트 전략, 그리고 수익화 가능성까지 완전 정리한다.
1. 왜 Zircuit과 Ethena가 리스테이킹 전략의 핵심인가?
Zircuit이란?
- ZK 롤업 기반 L2 네트워크
- EigenLayer 리스테이킹을 통해 AVS 보안 확보
- AVS 참여자에게 Zircuit 포인트 지급
- 메인넷 출시 전 테스트넷 기반 포인트 누적 중
- 포인트 보유자 대상 에어드랍 예정 (2025년 3분기 추정)
Ethena란?
- USDe(합성 달러) 발행 플랫폼
- EigenLayer 리스테이킹된 자산을 기반으로 보안 확보
- ezETH 등 다양한 LRT 예치를 통해 Ethena 포인트 제공
- 이미 ENA 토큰 에어드랍 진행 완료, 시즌4 진행 중
- Pendle, Kamino 등 디파이 플랫폼과도 연동되어 전략 확장 가능
2. 포인트 파밍 구조 비교
항목 | Zircuit | Ethena |
목적 | L2 네트워크 보안 확보 | 합성 USD(USDe) 발행 및 안정성 유지 |
리스테이킹 수단 | EigenLayer 기반(LRT 위임) | ezETH 예치 또는 LP 제공 |
주요 예치 자산 | eETH, ezETH, swETH 등 | ezETH, LP 토큰 |
포인트 명칭 | Zircuit 포인트 | Ethena 포인트 |
토큰 출시 여부 | ZRC 출시(상장 완료) | ENA 출시 (상장 완료) |
에어드랍 대상 | 포인트 보유자, 테스트넷 참여자 | 시즌1~3 포인트 보유자(에어드랍 완료), 시즌4 진행 중 |
3. 참여 방법 요약
Zircuit 포인트 받는 방법
- EigenLayer에 지원되는 LRT 보유
- eETH, ezETH, swETH 등을 Zircuit에 리스테이킹
- Zircuit 대시보드에서 예치 확인 후 포인트 자동 적립
- 포인트는 일간 기준으로 누적됨(예치 기간, 양에 따라 차등 지급)
추가 전략:
- Pendle에서 YT-ezETH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Zircuit 포인트가 적립될 수 있음
- 디파이 예치 상태에서도 포인트 적립되는 구조 지원
Ethena 포인트 받는 방법
- Ethena에 ezETH 예치 (ethena.fi)
- 또는 Pendle에서 YT-ezETH 예치
- 일부 플랫폼(Kamino, Maverick)에서 LP 토큰 예치 시에도 포인트 지급
- 일일 적립 구조, 시즌2에서는 누적형 포인트 제공
시즌1에서는 대박이 난 사람들이 허다했다!
- 약 5~10만 포인트 이상 보유 시 ENA 토큰 상당량 에어드랍
- ENA는 현재 상장되어 거래 가능
현재 시즌4 진행 중(2025.03.24 부터)으로 포인트를 많이 받기 위해서는 가능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먹는다!
4. 수익화 가능성 비교 (2025년 기준)
항목 | Zircuit | Ethena |
토큰 상장 여부 | ZRC(CEX/DEX) | ENA 상장 완료 (CEX/DEX) |
실현 가능한 수익 | 포인트 기반 추후 에어드랍 기대 | 시즌1 기준 1만 포인트 → 수십 달러 수준 |
포인트 시세화 가능성 | ZRC로 스왑 가능 | 일부 DEX에서 포인트 선매매 가능 (비공식) |
예치 후 수익 구조 | LRT 이자 + 포인트 누적 | LRT 이자 + 포인트 + 디파이 보상 |
5. 디파이 연계 전략
플랫폼 | 연계 여부 | 설명 |
Pendle | 매우 강력 | ezETH, swETH 예치로 YT + 포인트 동시 수령 |
Morpho | 일부 토큰 담보 활용 | eETH 등 사용 가능 |
Kamino | LP 기반 포인트 제공 | Ethena 시즌2에서 활용 가능 |
EigenLayer | 직접 리스테이킹 기반 | 모든 AVS 포인트 전략의 중심 |
실전 팁:
- Pendle에서 YT-ezETH만 매수해도 Ethena 포인트를 받을 수 있음
- Zircuit은 예치만 해도 포인트가 쌓이므로 디파이 담보 대출 전략과 병행 가능
- 예치 자산은 중간에 회수하면 포인트 리셋 가능성 있으므로 최소 2~4주 유지가 유리
6. 투자자별 전략 추천
투자자 유형 | 추천 플랫폼 | 전략 요약 |
에어드랍 중심 전략 | Zircuit | 장기 예치 + 테스트넷 참여 → 에어드랍 집중 |
빠른 수익화 전략 | Ethena | 포인트 → ENA 토큰 → DEX 판매 |
디파이 복합 활용 전략 | Pendle + Ethena | YT 수익 + 포인트 + 보상 복리화 |
포인트 누적 극대화 전략 | Zircuit + Pendle | LRT 예치 + 포인트 + 유동성 보상 중첩 |
Zircuit과 Ethena는 리스테이킹 전략의 핵심 축이다
단순히 ETH를 예치하고 이자를 받던 시대는 지나갔다.
이제는 LRT를 어디에 예치하고, 어떤 포인트를 얼마나 모으느냐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는 구조다.
Zircuit과 Ethena는 모두 EigenLayer 위에서 작동하는 대표적 AVS이며, 2025년 디파이 투자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 파밍 플랫폼이다. 에어드랍을 노리든, 보상을 현금화하든, 장기 스테이킹 전략을 설계하든 지금 이 구조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수익률을 크게 좌우할 것이다.
양식의 맨 아래
'디파이 > [돈 버는 디파이 전략] - 스테이킹 플랫폼 분석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파이 전략 5화] Pendle에서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0) | 2025.07.22 |
---|---|
[디파이 전략 4화] eETH vs ezETH 중에 어떤 게 수익이 더 좋을까? (0) | 2025.07.22 |
[디파이 전략 3화] LST? LRT? 그게 뭘까? (0) | 2025.07.21 |
[디파이 전략 2화] 리스테이킹이 바꾸는 디파이 지도-Etherfi, Renzo, Ethena, Zircuit (0) | 2025.07.21 |
[디파이 전략 1화] 어디에 어떻게 스테이킹해야 할까? (0) | 2025.07.20 |